1테라 NVMe SSD, WD 블랙 SN750
지인 컴퓨터용 부품들을 구입하기 위해 목록을 뽑다가, 곁다리로 제가 사용할 SSD도 하나 구입했습니다.
새 SSD는 NVMe 인터페이스의 WD 블랙 SN750 1테라 모델로 인터넷 가격비교 검색을 통해 21만5천원 정도에 구매했습니다.
그간 제가 직접 구매했던 SSD들은 플렉스터 제품들이 많았고, 노트북에 장착되어 나온 SSD는 삼성 제품들이 많았습니다.
개인적으로는 플랙스터의 SSD가 가격도 저렴할 뿐더러 성능도 꽤 좋은터라, 이번에도 플렉스터 1테라 제품을 구매하고 싶었으나, 플렉스터 제품들 대부분이 시장에서 자취를 감춘 상태였습니다.
어찌된 일인가 싶어 좀 더 검색해보니 코로나19로 인해 메모리 수급에 문제가 생겨 판매가 일시 중단되고 있다고 하네요.
각설하고 덕분에 삼성 EVO 시리즈와 WD 블랙 시리즈 중에서 잠시 저울질한 끝에, WD 블랙으로 선택했습니다.
주문한 다음 날 도착한 WD 블랙 SN750 1테라는 검은 색 작은 박스에 담겨 도착했고, 앞쪽에 국내 총판의 보증 스티커가 붙어 있었습니다.
박스 뒷면에는 하이 퍼포먼스 게이밍 NVMe SSD, 읽기 속도가 초당 3430MB, 5년 제한보증 등의 선전 문구가 적혀 있습니다.
종이 박스 안에는 플라스틱 완충재에 담긴 SSD와 깨알같은 글씨로 보증안내 문구가 적힌(한글은 없는) 안내문 한 장이 들어있습니다.
WD 블랙 SN750은 흔히 볼 수 있는 m.2 2280 규격으로, 너비 22mm, 길이 80mm, 검정색 기판이 인상적입니다.
WD 블랙 SN750 1테라 설치와 속도 측정
테스트를 위해 먼저 AMD X570 칩셋 메인보드에 장착했습니다.
참고로 WD 블랙 SN750 패키지에는 SSD 고정 나사가 없으니 따로 준비해야 하는데, 다행히 메인보드 부품으로 포함되어 있던 SSD 나사를 이용했습니다.
SSD 장착 후 컴퓨터 전원을 켜자, WDS100T3XOC-00SJG0 이란 모델명에 1000.2GB 용량으로 인식했고
부팅 후 파티션 설정과 포맷 완료 후 사용 가능한 용량은 931GB로 확인됩니다.
설치 완료 후, CrystalDiskMark 6.0.0을 이용해 속도를 체크해 봤습니다.
이 컴퓨터에는 지난 해 구입한 플렉스터 M9PEG를 사용 중이라, 두 제품을 함께 체크했는데, WD 블랙 SN750의 순차 쓰기 속도가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었습니다.
같은 칩셋(AMD X570), 다른 SSD 속도 측정
사실 CrystalDiskMark는 편하고 만만하게 사용할 수 있는 디스크 벤치마크 프로그램이라 예전부터 쭉 써왔는데, 버전이 바뀔 때마다 측정 기준이 바뀌어 예전 자료와 비교가 어려운 불편함이 있습니다.
다시 ATTO Disk Benchmark 4.00을 이용해 측정해보니, 플렉스터 M9PEG에 비해 쓰기 속도가 월등한 반면, 읽기 속도는 뭔가 속도 제한이 걸린 것 처럼 막힌 느낌입니다.
같은 칩셋(AMD X570), 다른 SSD 속도 측정
WD 블랙 SN750은 PCIe 3x4(32Gb/s)까지 지원하는 제품이지만, PCIe 4x4, 최대 64Gb/s를 지원하는 AMD X570칩셋 메인보드에 장착시 벤치마크 결과는 어떨지 궁금해 확인해 본 것인데, ATTO Diskbenchmark에서 의외의 결과가 나왔네요.
씽크패드 P50에서 속도 측정
간단한 속도 확인 후 씽크패드 P50 노트북에 옮겨 장착했습니다.
사실 저는 씽크패드 P50의 SSD 확장을 위해 1테라 SSD를 구입한 것으로, 최근 PCIe 4x4 지원 SSD들이 여럿 출시되었음에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PCIe 3x4기반의 WD 블랙 SN750을 구입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씽크패드 P50은 2개의 NVMe 슬롯이 준비되어 있고, 첫 번째 슬롯에 삼성 SM951, 256GB SSD가 장착되어 있습니다.
다만 두 번째 NVMe 슬롯의 경우 가이드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는데, 일단 테스트 목적으로 가이드 없이 끼워 봤습니다.
WD 블랙 SN750 장착 후 전원을 켜고, 바이오스 셋업에 들어가니 역시 1테라 SSD가 바로 인식되었습니다.
부팅 후, 역시 벤치마크 프로그램을 이용해 속도를 측정해 봤습니다.
AMD X570 메인보드에서의 벤치마크 결과와 비교해봤는데, CrystalDiskMark의 경우, X570 메인보드에서 측정한 결과가 전반적으로 앞서고 있습니다.
PCIe 4x4, 3x4 환경에서 속도 비교
반면 ATTO Disk Benchmark 4.00은 X570 메인보드에서 낮게 나왔던 읽기 속도가 씽크패드 P50에서는 정상으로 돌아왔습니다.
WD 블랙 SN750는 WD에서 제공하는 Dashboard 프로그램을 통해 SSD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시보드 프로그램에서 눈여겨 볼만한 부분은 SSD의 온도로, 대기상태에서 41~45도를 유지했고 벤치마크 프로그램으로 읽기/쓰기 작업이 진행되자 최대 64도까지 올라갑니다.
읽기/쓰기 작업에서 온도가 예전 제품들에 비해 좀 높은 편인데, 데스크톱 PC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열판이 장착된 모델을 이용하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아울러 대시보드 프로그램에서는 '게임 모드'라는 옵션이 눈에 띄어 사용해 봤습니다.
메인보드 PCIe 버전에 따른 취사선택
'게임 모드'옵션을 켜면 SSD의 저전력 모드가 비활성화되어 게임로딩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킨다고 하는데, 실제 게임모드를 켰을 때 체감할만한 속도 향상은 없었고 벤치마크 프로그램에서도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저는 노트북에서 사용하는데다 WD 블랙 SN750의 온도를 확인한 터라, 게임모드는 끈 상태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WD 블랙 SN750은 PCIe 3.0 규격 제품군 중에서는 상위에 속하는 제품이었지만, 이제는 PCIe 4.0을 지원하는 제품들이 속속 출시되면서 '지는 해' 같은 느낌입니다.
다만 저는 PCIe 3.0 지원 노트북에 쓸 제품으로, PCIe 4.0 지원 제품에 비해 6~10만원 남짓 저렴한 것을 염두에 두고 WD 블랙 SN750을 선택한터라, 구입 며칠 뒤 SN850 출시 소식을 들었음에도 딱히 배가 아프지는 않았습니다ㅎㅎ
본 리뷰는 아내의 지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 2019/12/01 - 사용 중인 윈도우를 새 SSD로 옮기는 방법. SSD 마이그레이션과 파티션 확장
- 2018/12/12 - 플렉스터 M8VC 256GB SSD 사용기. 구형 컴퓨터에서 HDD와 SSD 속도 비교
- 2016/11/17 - 삼성 SM951과 PM951 SSD의 속도 비교. PCIe, SATA M.2 SSD의 속도 차이?
- 2015/12/17 - 플렉스터 M6S SSD 개봉기, 구형 노트북의 하드디스크를 SSD로 교체하는 방법
- 2015/10/15 - 삼성, 플렉스터 M.2 SSD 2종 발열량 비교. NGFF SSD의 소비전력과 온도 차이?
- 2015/10/10 - 플렉스터 M6G-2280 m.2 SSD 사용 후기. 쓰기 속도 월등한 SSD 업그레이드 후기
- 2015/04/22 - 플렉스터 M6 Pro SSD 사용기. Plex Turbo가 인상적인 프리미엄 SSD, Plextor SSD
- 2015/03/28 - 씽크패드 X61S SATA2 바이오스 업그레이드. SSD와 SATA1, SATA2의 속도차이는?
- 2015/03/17 - SSD로 구형 노트북에 날개 달기. 노트북 하드디스크를 SSD로 교체하는 방법과 조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