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10의 HDR 설정
HDR(High Dynamic Range)는 한 화면에서 밝은 영역과 어두운 부분이 모두 표현하는 기술입니다.
햇볕이 밝게 내리쬐는 야외에서 스마트폰 카메라로 사진을 찍는 경우, 밝은 곳에 초점을 맞추면 그늘진 부분은 아예 까맣게 찍히고, 그늘진 곳에 초점을 맞추면 햇볕이 쨍한 곳은 아예 하얗게 날아가는 경험하게 되는데, HDR 모드로 설정하면 한 화면에서 극도로 밝은 영역과 어두운 영역의 디테일이 모두 뭉게지지 않고함께 볼 수 있습니다.
십여년 전에는 디지털 카메라의 브라케팅 기능을 이용, 밝은 사진과 중간 사진, 어두운 사진을 촬영한 뒤 세 장의 사진을 합성해 HDR 이미지를 얻는 수작업을 일일히 진행하기도 했는데, 요즘은 스마트폰 카메라에도 실시간 HDR 기능이 탑재되어 쨍하게 밝은 장소에서도 명부와 암부가 골고루 표현된 HDR 사진을 쉽게 찍을 수 있습니다.
요즘은 PC 모니터, 혹은 TV 모니터에도 HDR 기능이 흔하게 탑재되고 있으며, PC용 게임, 넷플릭스 등 다양한 컨텐츠에서 HDR을 지원합니다.
참고로 넷플릭스의 HDR 지원 컨텐츠의 경우, HDR 재생이 가능한 장비에서 영상을 열면 HDR 로고가 표시되고, HDR 미지원 장비에서 열면 HDR 로고가 뜨지 않아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C 환경에서 HDR을 사용하려면, HDR 지원 모니터와 HDR 지원 그래픽 카드, HDR 지원 운영체제, 그리고 HDR 지원 컨텐츠의 조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합니다.
디스플레이포트 1.4, HDMI 2.0, USB-C, 썬더볼트 등의 연결을 통해 지원하며 운영체제는 윈도우10, 윈도우11 등에서 HDR을 지원합니다.
참고로 저는 RTX 3060 GPU를 내장한 노트북의 USB-C DP 포트와 모니터의 썬더볼트 단자를 썬더볼트 케이블로 연결해 HDR을 사용 중입니다.
다만 윈도우10 운영체제의 HDR은, 필요할 때마다 사용자가 직접 켜고 끄는 수동식입니다.
HDR이 켜진 상태에서는, 전체적으로 화면이 매우 밝아져 폰트는 번진 상태가 되는터 일반적인 텍스트/이미지 작업은 매우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HDR 지원 컨텐츠를 사용할 때만 HDR을 켜고 평상시에는 끄고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HDR 지원 컨텐츠를 실행할 때 HDR이 자동 On/Off 되는 방식이면 편할텐데, 아쉽게도 윈도우10은 사용자가 직접 켜고 꺼야 합니다.
아울러 윈도우10에서 HDR을 켤 때, 몇 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먼저 바탕화면 빈 자리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한 뒤 [디스플레이 설정] 항목을 열고
[HDR 사용] 항목의 스위치를 켜야 합니다.
만일 모니터를 두 대 이상 연결해 사용 중이라면, [HDR 사용] 스위치를 켜기 전에 HDR을 사용할 모니터를 먼저 선택해야 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의 HDR 단축키
이렇게 넷플릭스나 게임 등 HDR 지원 컨텐츠를 실행하기 전,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HDR을 켜고 컨텐츠 사용이 끝나면 다시 디스플레이 설정을 열어 HDR을 끄는 과정이 생각보다 귀찮고 번거로왔고 실제로 HDR을 켜지 않고 사용할 때도 많았는데, 윈도우11은 윈도우10보다 개선된 HDR 설정 방식을 지원한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그리고 혹시나 윈도우10의 HDR 설정 방식도 좀 달라지지 않을까 싶었는데, 얼마 전 윈도우10의 HDR을 단축키로 켜고 끌 수 있게 되었단 소식을 들었습니다.
윈도우10의 HDR 단축키는
제가 사용 중인 LG 5K 모니터에서는 HDR을 켜면 모니터 오른쪽 상단에 HDR이라는 팝업 OSD가 잠시 표시되었다가 사라지는데, HDR 단축키를 누르는 즉시 화면이 잠깐 깜빡였다가 HDR OSD가 표시됩니다.
아울러 모니터 설정 OSD를 열어봐도 HDR 모드로 정상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10 HDR 단축키는 단순히 디스플레이 설정을 열고 HDR 스위치를 클릭하는 두어 과정을 줄인 정도가 아니고 다른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도 바로 단축키만 눌러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훨씬 더 편리했습니다.
바탕화면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해 디스플레이 설정 열던 때는 열넷플릭스나 HDR 지원 게임을 실행했다가 HDR이 꺼진 것을 인지해도 '귀찮으니 그냥 SDR로 쓰자'는 때가 많았지만, HDR 단축키를 알게 되면서 언제든
사용 중인 PC의 HDR 지원 여부 확인
참고로 LG 5K 모니터의 영상 모드 설정에는 [HDR 효과] 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HDR을 지원하지 않는 PC에서 HDR 모드를 흉내내는, 말하자면 '짝퉁 HDR 모드'입니다.
즉, HDR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모니터의 영상 모드에 [HDR 효과]와 같은 모드가 있더라도 건드리지 말고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설정에서 [HDR 사용] 스위치를 켜거나 HDR 단축키를 이용해야 합니다.
앞서 PC에서 HDR 모드를 사용하려면 PC 본체(그래픽 카드)와 모니터와 운영체제의 3가지에서 모두 지원해야 한다고 했는데, 현재 사용 중인 PC가 HDR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려면 [디스플레이 설정] - [Windows HD 컬러 설정] 항목을 클릭합니다.
이후 [기능 표시] 항목에서 [HDR 사용] 항목을 확인하면 됩니다.
저는 노트북에 외장 모니터를 연결해 사용 중인데, 왼쪽의 노트북 디스플레이는 AMD 내장 그래픽으로 HDR 사용 항목이 [아니오]로 표시되어 있는 반면 오른쪽은 nVidia RTX 3060 GPU에 외장 모니터를 연결한 조합으로 HDR 사용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오래된 윈도우 내장 프로그램인 [DirectX 진단 도구]를 통해서도 HDR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윈도우 검색창에 dxdiag를 입력해 표시되는 dxdiag 항목을 클릭한 뒤
DirectX 진단 도구가 실행되면 [디스플레이] 탭을 클릭해 HDR 항목을 확인하면 됩니다.
역시 왼쪽은 AMD 내장 그래픽 칩셋이며 오른쪽이 nVidia RTX 3060 GPU입니다.
DirectX 진단 도구 하단의 [모든 정보 저장] 버튼을 클릭하고 텍스트 형식의 보고서 파일을 열어보면, 좀 더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21.06.26 - ASUS 노트북에 AMD 그래픽 드라이버 설치. LoadLibrary failed with error 126
- 2021.05.15 - NVidia 외장 그래픽 선택 사용 설정방법. 프로그램마다 원하는 GPU 설정하기
- 2021.04.15 - HDMI 연결시 녹색 점(노이즈) 해결 과정. 아트뮤 HDMI 2.1 케이블 교체 사용기
- 2020.10.16 - LG 43UN700 43인치 UHD 모니터 개봉기. 43인치 모니터를 책상에서 쓰려면
- 2018.11.13 - DP 케이블 20번 핀 이슈와 더미핀 확인 방법. 알파스캔 모니터의 번들 DP 케이블